마틴 파울러가 말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by 정기욱
- 이러한 아키텍처는 한번 정하면 바꾸기가 힘든 것들을 말한다
- 아키텍처라 이름 붙일 만한 것이 적을 수록 좋은 것이다
- 초기에 투자를 해서 좋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구축했더니 - 노련한 개발자가 핵심 가치를 놓치지 않고
왜 나는 자연어처리(NLP) 논문을 읽게 되었는가? - ELMO, Transformer, BERT부터 XLNet, ALBERT, RoBERTa, ELECTRA까지NLP 논문 후기 by 이수진 about BERT
- 이번 포스팅은 최근에 제가 읽게되었던 딥러닝 분야의 자연어 처리(NLP) 논문을 읽고난 후기입니다
- 그 외에도 NLP 모델을 활용해서 어떻게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을지 고민할 수 있었고 논문을 읽으면서 NLP 쪽과 관련 없는 아이디어도 고민해볼 수 있었다
- 왜냐하면 사실 SentenceBERT에서 아이디어를 따오기 위해 NLP 논문 리스트업을 했던 것이고 읽기 시작했기 때문이었다
2020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 합격 후기 by 전지윤
- 실기시험은 객관식인 필기시험과는 다르게 서술형과 단답형 문제들이 있어서 공부를 좀 더 했던 것 같아요
- 그리고 서술형 문제자체는 논란이 없도록 최대한 후하게 채점해주는 느낌이 들었습니다
- 아무튼 단답형과 서술형으로 출제되니 꼼꼼하게 공부하셔서 합격하셨으면 좋겠습니다
2020년 카카오 하반기 코딩테스트 후기 by 전지윤
- 첫 취준에 대외활동도 한 적이 없어서 코딩 테스트를 본 적이 없었는데 이번 카카오 코딩 테스트로 코테 입문을 시작했습니다
- 코테 자체 난이도는 높았던 대신 나중에 문제가 공개된다는 점과 히든 케이스를 맞았는지 알 수 있어 점수를 바로 알 수 있다는 점이 좋았습니다
- 들어보니 4솔 정도가 1차 코테 합격선이었던 것 같고 어려웠다던 6번과 7번만 푼 사람도 1차 합격을 한 것을 보니 문제별로 점수가 다른 것 같았습니다
2020년 라인 하반기 코딩테스트 후기 by 전지윤 about Javascript
- 문제 난이도 자체는 낮았지만 히든 케이스를 제공하지 않아서 사실상 효율성을 따져야 해 어려웠다고 생각합니다
- 합격선은 4-5솔이었던것 같고 5솔을 해도 떨어졌다는 사람이 있는 것 보면 히든 케이스를 주지 않았기 때문에 효율성이나 경계조건에서 많이 갈렸다고 생각합니다
- 1번은 구현 문제였다고 생각합니다
2020년 엔테크 채용전제형 인턴십 코딩테스트 by 전지윤 about SQL
- 일단 인턴십이라 그런지 문제가 어렵지 않았고 히든 테스트도 제공되었고 점수도 몇 점인지 알려주었단 점에서 어려웠던 코딩테스트는 아니었다고 생각합니다
- 끝나면 점수를 알려주는데 이번 코테는 500점 만점에 400점 컷이라고 생각되고 350점도 합격하는 것을 보니 같이 제출했던 자소서를 많이 보는 것 같습니다
- 전 투포인터 알고리즘을 몰라서 3번은 몰랐던 문제라고 생각하고 3번 효율성을 풀지 말고 4번을 푸는 게 나았을 거라고 살짝 후회하고 있습니다
[백준1005번] ACM Craft / Python3 by 홍석준 about 백준,Python
- 그리고 2번 건물과 3번 건물을 동시에 건설하기 시작하면 2번은 1초뒤에 건설이 완료되지만 아직 3번 건물이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4번 건물을 건설할 수 없다
- 3번 건물이 완성되고 나면 그때 4번 건물을 지을수 있으므로 4번 건물이 완성되기까지는 총 120초가 소요된다
- 5 3 2 1 2 3 3 2 2 1 1 4 3 5 5 5 5 1 2 1 3 2 3 4 5 10 100000 99999 99997 99994 99990 4 5 3 5 3 4 2 5 2 4 2 3 1 5 1 4 1 3 1 2 4 4 3 1 1 1 1 1 2 3 2 1 4 4 7 8 0 0 0 0 0 0 0 1 2 1 3 2 4 3 4 4 5 4 6 5 7 6 7 7
[백준2294번] 동전 2 / Python3 by 홍석준 about 백준,Python
- k+1 크기의 동전의 최소 개수를 담을 dp배열을 모든 값이 sys
- 이전 동전의 가치로 만들 수 있는 개수와 현재 동전 하나와 현재 동전의 가치를 뺀 상태에서의 최소 개수를 더한 것중 작은 것으로 최신화를 시켜주는 것이다
- maxsize] * (k+1) dp[0] = 0 for i in range(len(coins)): for j in range(coins[i]
커뮤니케이션 관련 옛날 슬라이드들 by 이상균